Gradle
Gradle이란?
CI/CD를 위해 아래 작업들을 자동화 시켜 주는 Groovy 기반의 오픈소스 빌드 도구이다.
Gradle을 사용하는 이유
점진적 빌드
- 바뀐 파일들만 빌드
- 빌드 실행중, 마지막 빌드 호출 이후에 task 입력, 출력 혹은 구현이 변경됐는지 확인
build cache
- 하나의 빌드에서 사용되는 파일들이 다른 빌드들에 사용된다면 빌드 캐시를 사용해서 한번만 다운로드 또는 빌드
Daemon Process
- 메모리상에 빌드 결과물을 보관
- 한번 빌드된 프로젝트는 다음 빌드에 매우 적은 시간만 소요됨
- Daemon Process
Gradle Process
위 이미지는 Gradle이 원격 레포지토리에서 artifact를 가져와서 캐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Gradle Refresh를 하면, Gradle은 build.gradle 파일의 레포지토리에 명시된 외부 artifact를 요청하여 가져온다. 이 artifact들은 Gradle 내부적으로 Cache에 저장되고 기존과 동일한 artifact일 경우 cache에 있는 artifact를 사용한다.
Gradle Syntax
이제 .gradle 파일 작성법을 살펴보자. .gradle 파일은 groovy 스크립트를 작성해야한다. 아래 text는 .gradle 샘플 스크립트이다.
plugins {
id 'application'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testImplementation 'org.junit.jupiter:junit-jupiter:5.9.3'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implementation 'com.google.guava:guava:32.1.1-jre'
}
application {
mainClass = 'demo.App'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위 스크립트의 내용을 기반으로 각 항목별 기능을 알아보자.
plugins 항목은 빌드와 배포 프로세스를 확장하는데 사용한다. java 컴파일, 테스트, JAR 패키징 등의 task를 확장할 수 있다.
repositories 항목은 artifact를 가져올 저장소를 명시해주는 부분이다. 위 스크립트에서는 mavenCentral 저장소를 사용했다.
dependencies 항목은 프로젝트에 추가할 의존성 라이브러리 목록을 명시한다. 라이브러리 추가시, 옵션은 아래와 같다.
Keyword | 기능 |
---|---|
implementation | 의존 라이브러리 수정시 본 모듈까지만 재빌드 |
api | 의존 라이브러리 수정시 본 모듈을 의존하는 모듈들을 전부 재빌드 |
compileOnly | compile시에만 빌드하고 빌드 결과물에는 포함하지 않음 |
testImplementation | 테스트 코드를 수행할 때만 적용 |
annotationProcessor | annotation processor 명시 |
tasks는 빌드, 테스트, 배포 등의 단계를 수행하는 작업단위를 의미한다. task 내부에서 doFirst, doLast를 통해 순서를 지정 할 수 있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