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재해복구시스템(DR)에 대해서 알아보자.

재해복구시스템(Disaster Recovery, DR)

비즈니스나 조직에서 예상하지 못한 재난상황이 발생했을 때, IT 인프라, 데이터 및 운영 서비스를 빠르게 복구하고 정상화 하는 전략과 절차를 의미한다.

DR 시스템의 주요 요소

DR 시스템의 주요 요소는 아래 네가지이다.

첫째, RTO(Recovery Time Objective) + RPO(Recovery Point Object)로 서비스가 복구되기까지의 시간 목표데이터의 손실 허용 범위를 포함한다. 둘째, On-premise 또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이중화된 데이터센터를 포함한다. 셋째, 데이터 벡업, 데이터 복제, 가상화 등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기술을 포함한다. 넷째, DR 시나리오와 절차를 문서화하고, 테스트 및 검증을 통해 유효성을 확인하여 DR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DR 아키텍쳐

유형 특징
On-Site DR 동일 시설 내에서 복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빠른 복구가 가능하지만 재해의 영향을 받을 위험이 존재한다.
Off-Site DR 다른 지역에 복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지만 RTO가 늘어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DR 퍼블릭 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활용한 방식으로 유연성과 비용 효율성이 높으며, 클라우드 제공자가 데이터 복제를 관리한다.

관련 기술들

DR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필요한 핵심 기술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데이터의 일관성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복제 기술 그리고 재해 발생시 Human Resource 없이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는 자동화 툴이 필요하다. 추가로 재해 상황에서도 데이터 센터 간 연결을 유지해야한다. 만약 클라우드 방식을 사용한다면, AWS, Azure, Google Cloud 등의 주요 클라우드 제공자가 이러한 DR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연결문서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