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NS
📌 DDNS(Dynamic DNS)란?
info
DDNS(Dynamic Domain Name System)는 IP 주소가 변경될 때마다 DNS 레코드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이다.
주로 유동 IP 환경에서도 고정된 도메인 주소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 DDNS의 필요성
-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은 보통 유동 IP를 제공받음
- IP가 바뀔 때마다 직접 DNS 정보를 수정하는 것은 비효율적
- DDNS는 IP 변경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DNS 서버에 반영
-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변하지 않는 도메인 이름으로 시스템에 접속 가능
✅ DDNS 동작 원리
- 라우터 또는 클라이언트가 공인 IP 주소를 DDNS 서비스에 전달
- DDNS 서버는 해당 IP로 DNS 레코드를 자동 갱신
- 외부 사용자는 항상 동일한 도메인으로 접근 가능
✅ DDNS 사용 사례
용도 | 설명 |
---|---|
원격 접속 | 집에 있는 NAS, CCTV 등에 고정 도메인으로 접속 |
소규모 서버 운영 | 자체 서버를 운영하지만 고정 IP가 없는 환경 |
홈 네트워크 | 외부에서 홈 네트워크 제어, IP 카메라 연결 등 |
✅ 대표적인 DDNS 서비스
- No-IP (https://www.noip.com)
- DuckDNS (https://www.duckdns.org)
- DynDNS (유료, discontinued 일부 국가에서)
- Cloudflare API를 통한 자동 업데이트 구현도 가능
✅ DDNS 설정 방법 (일반 라우터 기준)
- DDNS 제공 사이트 가입 및 도메인 등록
- 공유기 또는 NAS의 DDNS 메뉴에서 서비스 정보 입력
- 공유기가 주기적으로 IP 변경 감지 → DDNS 서버에 자동 반영
✅ 주의 사항
- 무료 DDNS 서비스는 주기적 갱신(30일마다 확인 등)이 필요할 수 있음
- 방화벽 및 포트포워딩 설정도 함께 고려 필요
- 일부 ISP는 DDNS 서비스 차단 정책 존재
댓글남기기